둘째 아이를 출산하면 국가에서 주는 기본 지원 외에도
지자체마다 추가 현금이나 육아용품을 지원하는 제도가 있습니다.
2025년 기준, 부모가 꼭 챙겨야 할 지원금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1️⃣ 국가 지원: 첫만남이용권 그대로 지원!
2025년에도 둘째 출산 시 첫만남이용권 200만 원이 그대로 지급됩니다.
이는 출생한 자녀 1인당 지급되며,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형태로 사용됩니다.
- 지급 시기: 출생신고 완료 후 약 1주 이내
- 사용 기한: 출생 후 1년
- 사용처: 병원, 약국, 산후조리원, 육아용품점 등 바우처 가맹점
💡 2025년에도 예산이 확보되어,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지급됩니다.
2️⃣ 지자체 현금 지원은 지역마다 달라요
지자체별로 둘째부터는 추가로 현금 또는 육아물품을 지원합니다.
아래는 2025년 기준 일부 주요 지자체의 지원 내용입니다.
지자체 | 첫째 | 둘째 | 셋째 이상 |
서울 강동구 | 20만 원 | 50만 원 | 100만 원 |
경기 고양시 | 10만 원 | 30만 원 | 100만 원 |
부산 해운대구 | 없음 | 70만 원 | 100만 원 |
전북 완주군 | 30만 원 | 100만 원 | 최대 1,000만 원 |
※ 대부분 출생일 기준으로 6개월 이내 신청해야 하며,
부모 중 1인이 해당 지자체에 6개월 이상 거주 중이어야 합니다.
3️⃣ 실물 지원: 유모차, 카시트도 받을 수 있어요
일부 시군구는 현금 외에도 유모차, 카시트, 기저귀 세트 등을
택배로 보내주거나, 직접 수령하게 안내합니다.
- 서울 중구: 둘째 출산 시 유모차 1대 택배 발송
- 경북 포항시: 카시트 + 수유패드 + 분유샘플 제공
- 제주도: 출산용품 세트 (약 30만 원 상당)
💡 신청은 대부분 보건소나 복지포털에서 가능합니다.
4️⃣ 꼭 기억하세요! 놓치기 쉬운 조건들
- 출생신고 지연 시 신청 불가
- 부부 중 부양자 기준 거주지로 신청해야 인정
- 일부 지역은 다문화가정, 한부모가정 우선순위 있음
👉 따라서 출산 후 1개월 이내에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
읍면동 주민센터, 보건소에 문의해 정확한 기준을 확인하세요.
✅ 핵심 요약
- 2025년에도 첫만남이용권 200만 원 그대로 지급
- 지자체 현금 + 실물 지원은 둘째부터 확 늘어남
- 지원금은 지역마다 차이 크고, 신청기한 놓치면 지급 불가
- 출생신고 후 1개월 내 확인 필수!